드론 국가자격증, 정식명칭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증명 시험을 준비하며 필기/실기 통틀어 가장 당황했던 순간이 아닐까 싶습니다. 맨 첫 시간에 종이를 한 장 받았는데 이 종이 한 장이 모두 직접 수행해야하는 절차라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색깔이 칠해진 부분은, 순서는 물론이고 정확히 외워서 외쳐야 하는 구호입니다. 물론 드론이 이륙하기 위해 점검해야 하는 내용과 이륙 후 시험 순서 등 이해하면 당연한 얘기들입니다만 12kg 초과 기종조차 처음 본 상황에 이걸 다 외워야 한다고까지 하면 당황스럽기는 하죠.

개인적으로는 모르면 찍을 수 있는 필기보다 이걸 다 실수없이 그대로 외우고 동작으로 수행해야 하는 이 절차 암기가 더 어려웠습니다.



혹시 이제 막 시험에 도전하려 하시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사실 이 걸 전부 한 번에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일단 교육기관마다 기체나 조종기 종류에 따라 아마도 약간씩 자료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맨 왼쪽은 [이륙 전 준비], 가운데는 실제 이륙 후 [실기 시험 평가 절차], 제일 오른쪽 영역은 [착륙 후 마무리] 단계이기 때문에 실기 첫 시간부터 전체를 외우기를 강요하지는 않을 겁니다.

다만, 실기 시험을 응시하시기 위해서는 결국 언젠가는 다 외우셔야 합니다.



어쨌든 얘는 차차 이해와 암기를 하시겠다 마음 먹으셨다면 이제는 실기 시험장 규격 및 구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공식자료에서 설명하는 시험장의 규격, 즉 크기와 모양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기체의 조종은 [P]의 자리에서 15m 떨어진 [H]지점에 있는 기체를 띄운 후에 위의 '실기 시험 순서' 가운데 영역의 절차를 따라 모든 비행을 10분 이내에 완벽히 마치면 됩니다.

이어지는 포스트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마는 [F]로 표기된 비상착륙장은 [H]이착륙장의 왼쪽에 있어도 무방합니다.

사실 시험장 규격만 보면 뭐가 그리 어렵겠나 싶습니다만 기체를 3m 이상 일정고도로 유지하며 순간적인 측풍 등에도 견디며 조작하는게 생각만큼 쉽지만은 않습니다.

관련 보도(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711271126158559227_1)에 의하면 최근 3년 간 실제 합격률은 60% 내외로 알려져 있고, 실제 교육원들의 시험 운영 결과도 보면 연습량이나 숙련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만 각 회차별로 50%~70% 정도의 합격률이 가장 흔하다고 합니다.



전체 시험은 아시다시피 간략하게 [필기] - [응시자격부여] - [실기] 의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이게 뭔 소린가 하시는 분들은 저의 다른 포스트(http://zisiknamu.tistory.com/28)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 중 본 포스트는 실기시험에 대해서만 다루는데 사실 실기는 [구술 시험]과 [실기 시험]으로 진행이 됩니다.

기체의 제원을 비롯한 내용들을 물어보는데 제원을 비롯한 나머지 내용은 필기와 실기 준비를 거치신 분들이면 그리 어렵지 않게 대답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이어지는 포스트에서는 [구술 시험]은 다루지 않고 기체를 조작하는 [실기]만 얘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혹시나 본 포스트에 사용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로 메일 주소 달아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실기 시험 방법에 대해 순서대로 포스팅을 할까 해서 시험장 규격 확인 등을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 오랜만에 들어가 봤습니다.


그러던 중 작년 11월에 공지된 내용 중에 취득 현황에 관한 글이 있더군요.

드론 자격증, 즉 무인멀티콥어에 관한 부분만 좀 강조해 봤습니다.

첫 시행은 2014년에 있었군요. 첫 해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취득 인원이 많은 이유는 그 전부터 RC 등으로 접하고 있던 민간자격보유자들을 국가 자격증으로 전환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이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아래의 그래프는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만들어 본 건데 이런 추세라면 2018년 취득자는 4,000명 선을 넘나들겠네요. 물론 시험장 환경이 뒷받침 되야 가능하겠지만, 얼마전 급히 확대된 학과(필기) 시험 횟수를 고려하면 확정된 상반기 학과 응시 가능 인원만 전국적으로 거의 5,000명에 육박합니다.

게다가 3월부터는 실기를 상시 시험 방식으로 운영한다하니 필기합격자 인원을 그대로 실기에서 처리할 수 있다면 2018년 예상 취득자 수는 4,000명에 육박하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자격증 남발로 드론 활용 시장이 너무 과포화되는게 아닌가 할 수 있지만, 얼마 전 12월에 있었던 국토교통부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 발표에 따르면 당장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향후 5년간 3,700대의 드론을 구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2026년까지 사업용 드론 시장 규모를 53,000여 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하니 2018년에 드론 자격증 취득에 뛰어들고자 하시는 분들은 그래도 선도자(First mover)까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히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는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게다가 드론을 활용할 시장은 아직도 무궁무진 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낼 수도 있겠죠.

작년 하반기부터 드론 자격증의 열풍이 거세지고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급기야 한국교통안전공단(舊 교통안전공단)에서 d얼마 전 발표한 일정에 더해 학과(필기)시험에 한해 거의 세 배 가까이 시험 일정을 늘렸습니다.




정식 공고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공지] 초경량비행장치 학과시험 시험일(횟수) 확대 시행


필기합격 후 실기 일정은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드론국가자격증 시험일정] 2018년도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 공식시험일정

일명 드론국가자격증, 정식명칭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의 실기시험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뭐니뭐니해도 원주비행(러더턴, Rudder Turn)이 아닐까 싶습니다.


원주비행이 어려운 이유는 우선 한 바퀴를 크게 돌며 고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근데 이게 왼쪽 스틱을 아주 살짝 오른쪽으로 밀어서 우회전을 줘야하는데, 문제는 왼쪽 스틱을 상하로 조작하면 고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상하조작 없이 정밀하게 살짝 우회전만 주어야 합니다.


실기에서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고도 3.5m~5m 상승




② 고도를 유지하며 각 포인트 지점을 지나칠 수 있도록 크게 원주 비행하기. 

이 때 기체의 방향은 머리부분을 왼쪽으로 두고 좌회전을 하되 항상 머리가 기체의 전진 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즉 사진의 위치에서는 드론의 머리가 오른쪽을 향해 있겠네요.




그렇다면 이렇게 드론을 날리기 위해서는 조종기를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 포스팅(http://zisiknamu.tistory.com/13)에서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