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필기합격과 응시자격부여 절차를 모두 마치고 실기시험을 앞두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야기를 진행하겠습니다.

이미 20시간의 경력증명까지 모두 마쳤다는 얘기지요.



실기 시험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비행 준비 단계입니다. "비행 준비"라고 외치고 조종기와 배터리 케이스를 들고 비행장으로 입장합니다. 




② "배터리 장착"이라는 구호와 함께 기체에 (FC배터리와) 메인 배터리를 장착합니다.





이 때 조종기는 배터리 케이스 위에 단정히 올려둡니다.




③ 구호와 함께 조종기의 전압과 상태를 점검합니다. 이 때 일반적인 조종기의 옵션이라면 각종 스위치는 모두 지면이나 전방을 향해 있어야 정상입니다.




④ 마찬가지로 구호와 함께 'FC배터리'의 단자를 서로 연결합니다. 특히 연결 직후 GPS의 정상작동 불이 점멸하는 것을 확인하고 꼭 "GPS 이상 무"를 외쳐야 합니다.




⑤ 배터리 체크 단계입니다. 체커(또는 리포알람이라고도 함)를 통해 각 배터리의 정상 전압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모든 배터리에 각 각 연결합니다.




⑥ 각 구성 요소를 직접 손으로 만져보며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물론 이 때도 구호와 함께 진행해야 하며 모든 날개 및 붐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참고로 지금 진행되는 모든 과정은 비행 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⑦ 가장 주의해야 하는 순간입니다. 연결 순서가 다르면 배터리의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라고 알려져 있죠. 어쨌든 주의 깊게 순서대로 선 색에 주의해 연결합니다.



검정선에 이어 빨간선끼리 노란선끼리 연결합니다.





⑧ 거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케이스와 조종기를 챙겨 조종자의 위치로 돌아갑니다.




⑨ 비행 전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비행장의 사람과 장애물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⑩ 이제 실기 시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 내용은 이어지는 포스트에서 계속 됩니다.



실기 시험 방법에 대해 순서대로 포스팅을 할까 해서 시험장 규격 확인 등을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 오랜만에 들어가 봤습니다.


그러던 중 작년 11월에 공지된 내용 중에 취득 현황에 관한 글이 있더군요.

드론 자격증, 즉 무인멀티콥어에 관한 부분만 좀 강조해 봤습니다.

첫 시행은 2014년에 있었군요. 첫 해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취득 인원이 많은 이유는 그 전부터 RC 등으로 접하고 있던 민간자격보유자들을 국가 자격증으로 전환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이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아래의 그래프는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만들어 본 건데 이런 추세라면 2018년 취득자는 4,000명 선을 넘나들겠네요. 물론 시험장 환경이 뒷받침 되야 가능하겠지만, 얼마전 급히 확대된 학과(필기) 시험 횟수를 고려하면 확정된 상반기 학과 응시 가능 인원만 전국적으로 거의 5,000명에 육박합니다.

게다가 3월부터는 실기를 상시 시험 방식으로 운영한다하니 필기합격자 인원을 그대로 실기에서 처리할 수 있다면 2018년 예상 취득자 수는 4,000명에 육박하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자격증 남발로 드론 활용 시장이 너무 과포화되는게 아닌가 할 수 있지만, 얼마 전 12월에 있었던 국토교통부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 발표에 따르면 당장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향후 5년간 3,700대의 드론을 구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2026년까지 사업용 드론 시장 규모를 53,000여 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하니 2018년에 드론 자격증 취득에 뛰어들고자 하시는 분들은 그래도 선도자(First mover)까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히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는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게다가 드론을 활용할 시장은 아직도 무궁무진 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낼 수도 있겠죠.

작년 하반기부터 드론 자격증의 열풍이 거세지고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급기야 한국교통안전공단(舊 교통안전공단)에서 d얼마 전 발표한 일정에 더해 학과(필기)시험에 한해 거의 세 배 가까이 시험 일정을 늘렸습니다.




정식 공고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공지] 초경량비행장치 학과시험 시험일(횟수) 확대 시행


필기합격 후 실기 일정은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드론국가자격증 시험일정] 2018년도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 공식시험일정

일명 드론국가자격증, 정식명칭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의 실기시험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뭐니뭐니해도 원주비행(러더턴, Rudder Turn)이 아닐까 싶습니다.


원주비행이 어려운 이유는 우선 한 바퀴를 크게 돌며 고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근데 이게 왼쪽 스틱을 아주 살짝 오른쪽으로 밀어서 우회전을 줘야하는데, 문제는 왼쪽 스틱을 상하로 조작하면 고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상하조작 없이 정밀하게 살짝 우회전만 주어야 합니다.


실기에서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고도 3.5m~5m 상승




② 고도를 유지하며 각 포인트 지점을 지나칠 수 있도록 크게 원주 비행하기. 

이 때 기체의 방향은 머리부분을 왼쪽으로 두고 좌회전을 하되 항상 머리가 기체의 전진 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즉 사진의 위치에서는 드론의 머리가 오른쪽을 향해 있겠네요.




그렇다면 이렇게 드론을 날리기 위해서는 조종기를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 포스팅(http://zisiknamu.tistory.com/13)에서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