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이젠 정말 완전히 봄이라고 할 수 있는 날씨네요.

다들 이럴수록 시간을 조금이라도 내서 광합성을 하시거나 햇빛 한번 보시면 좋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가서 멍 ~ 하니 있기만 해도 왠지 모르게 녹아내린답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주로 일을 하다보면 더블 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하는 환경도 많지만 이번 내용은 더블 모니터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간단하지만 좋은 팁 하나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더블모니터는 처음 사용할 땐 목이 왠지 불편하고 그렇지만 점차 사용하다 보면

일의 효율성 부분에서 많은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 경우 좌우 모니터의 위치를 바꾸거나 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

간혹 있으신데 이걸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바탕화면에서 우클릭하여 아래 메뉴들 중 - 디스플레이 설정 - 을 선택해 줍니다.

 

 

 

이때 더블 모니터를 사용하시는 중이라며 아래 그림과 같이 두 개의 네모가 1,2 표시를 하고 있을 겁니다

이건 현재 사용하는 모니터 2개를 표시해 주는 겁니다.

 

 

 

여기서 이제 바꾸고 싶은 모니터를 좌클릭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여 1,2번의 위치를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어떤가요 정말 쉽죠?? 진짜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후 적용 버튼을 누르신다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재배치될 것인데 이때 아이콘들은 드래그해서 

옮겨야 합니다.

 

그렇지만 정말 쉽고 간단하게 더블 모니터의 위치를 바꾸었죠.

 

 

 

이렇게 컴퓨터 내에서 설정을 통해 바꿀 수 있지만 처음엔 연결 선들을 반대로 꼽거나 진짜 모니터의 위치를 바꾸는 등

해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러분들은 다들 고생하지 않고 이렇게 쉬운 방법으로 해결하실 거라고 믿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주말 다들 잘 보내셨나요?? 

다들 날씨가 많이 풀리고 좋지만 아직까진 마스크 끼고 다니시고 

항상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바로 홈택스에서 이용이 가능하고 입찰, 제출 등 

주로 쓰이는 국세 완납 증명 발급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본 내용으로 들어가서

우선 역시 첫 번째로 홈택스로 들어가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 진행을 완료하셨다면 메인화면에 나타난 민원증명 메뉴를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이후 좌측의 메뉴들을 확인하신다면 민원증명 - 국세 증명 신청이라는 메뉴를 찾으셨다면 클릭!!

 

 

많은 민원사무명 같은 것들이 나타날 텐데 저희는 증명서가 필요하기에 납세증명서를 클릭해주도록 합시다!!

자세히 보시면 이곳에서 여러분들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를 발급받을 수 있다는 걸을 알 수 있습니다.

 

잘 알아두시는게 좋겠죠??

 

들어가게 되신다면 미흡한 정보에 대해선 입력해주시고 입력이 되어있다면

다시 한번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개인정보나 주소가 증명서에 비공개로 표시되도록 하고 목적은 되도록이면 기타

그리고 제출처의 경우 사용목적에 맞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후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발급 완료!!!

 

마지막으로 이제 다음 창으로 넘어가서  발급번호를 클릭해준다면 사용 가능한 프린트 목록이 나오며

확인을 눌러주면 프린트가 시작됩니다.

그러면 발급 완료!!

 

 

 

어때요 참 쉽죠??

오늘은 이렇게 국세 완납증명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로 사업, 서류제출 등 많은 곳에 쓰일 수 있기에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오늘 하루도 파이팅하시고 저는 다음에 더 좋고 재밌는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어제는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연장이라고 할 수 있는 원천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천세 : 모든 원천징수대상 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기타소득,퇴직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소득세(국세)와 지방소득세(지방세)를 의미합니다.

- 원천징수 : 해당 근로자의 원천세를 사업자가 근로자의 급여에서 먼저 제한 후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뜻을 알아보았으며 어제 알려드린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에 대해 발급을 받기 위해

반드시 이 원천세가 신고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순서는 우선 어제와 많이 비슷합니다.

 

첫 번째로 우선 반드시 홈택스 가입이 되어있어야겠죠??

 

그 후 신고/납부 상위 메뉴 칸에서 좌측 세금신고에 - 원천세를 클릭합니다.

 

이후 원천세 항목에 접속하셨다면 신고 부분에 대한 항목들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저희는 정기신고, 즉 이번 달

원천세에 대한 신고를 가정한다 하였을 경우로 하여 정기신고로 클릭합니다.

 

기한 후 신고는 말 그대로 기한이 지난날의 원천세를 신고를 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후 기본정보 입력이 나오게 되는데 우선 처음엔 사업자 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고 나면 원천징수 의무자의 회색 박스 부분이 활성화되어 자동적으로 정보들이 채워지는데 이때 

확인을 하여 틀린 부분이 없는지 꼼꼼히 보셔야겠죠??

그런 다음 저희는 현재 근로소득에 대한 부분을 하고 있기에 근로소득을 반드시 체크해 줍시다!

그러고 나서 저장 후 다음 이동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넘어가게 된다면 간이세액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 부분의 경우 저희가 소득세나 지방세와 같은 부분을

직접 계산이나 알기 어려우니 국세청에선 이를 위해 근로소득 간이세액 표라는 것을 만들어 자동으로 세금을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s://www.nts.go.kr/support/support_03_etc01.asp

 

 

위의 홈페이지 들어가게 되면 이렇게 화면이 나오며 입력 칸들이 나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선 저는 예를 들어 2,000,000만 원을 기준으로 하여 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월급여가 200만 원이라고 가정할 때 부양가족이 없는 혼자라면

아래와 같이 소득세(근로소득세) 지방세가 함께 나타납니다.

80,100,120 등으로 나와있지만 저는 100으로 신고를 합니다.

 

 

이렇게 간이세액에 대해 알았으니 다시 홈택스로 돌아와 지방세를 제외한 인원, 총지급 금액(비과세 제외), 소득세

를 입력하고 난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이후 다른 과정들은 다 스킵해도 되니 다음으로 이동, 혹은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 버튼을 클릭해 줍시다.

그렇게 하고 나면 신고서 제출 버튼이 나오는데... 맞습니다 끝났습니다!!

이렇게 접수가 잘 되었는지 확인까지 하셨다면 신고 부분은 끝났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원천세(근로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많은 기능이 있지만 사용하기 너무 어려운 홈택스 설명이었으며

다음에도 보다 참신하고 도움이 될 만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도 역시 날씨가 좋은 하루입니다. 다들 건강하시겠죠??

다들 건강하시겠다고 믿고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제가 직접 회사에 필요해 서류들을 알아보다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

라는 서류가 필요하다고 해서 발급을 받으려고 했습니다.

 

저는 처음 듣는 명칭에 많이 당황을 했었죠...

저게 무엇인가 찾아보니 보통 큰 회사들의 경우 전담 세무사 분들이 있지만

개인사업자의 경우 매달 직원이나 아르바이트생 분들에게 근로자의 개념으로 월급을

지급하고 있다~~ 라는 것을 증명하는 내용입니다.

 

특히나 4대 보험이 들어가 있으면 더욱더 잊으면 안 됩니다!

신고의 부분의 경우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고 우선 발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자면

홈택스 로그인을 실시하셨다면 메인화면에서

 

신고/납부를 클릭한 후 좌측 세금신고 란에 원천세를 클릭합니다!!

 

두 번째로 들어오셨다면 원천세에 대한 신고 부분들이 나오실 텐데 여기서 신고가 아닌 저희는 

발급이 목적이기에 step 2에 있는 신고 내역으로 들어갑니다!

 

그 후 처음엔 빈 공백만이 나올 텐데 여기서 이제 찾으시고자 하는 신고일자와 사업자 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시면 일자에 포함된 신고 내역들이 나오게 됩니다.

 

이후 내역들을 확인하시고 발급받으시고자 하는 내역의 접수번호를 클릭하게 된다면....

 

그림과 같이 출력이 가능한 페이지가 나오며 우측 상단의 일괄 출력 버튼을 클릭하시면 출력이 가능합니다!!

 

어때요?? 참 쉽죠??

 

알고 보면 정말 쉽지만 사용하기 어려운 홈택스는 저도 한번 하고 잊어먹어 이렇게 제 기억을 되살리는 겸 

포스팅을 통해 저도 배우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날씨가 요새 너무 좋아서 산책도 하고 싶고 광합성이 너무나 하고 싶은 날들이 더라고요.

다들 건강하게 잘 지내시겠죠??

 

오늘은 e스포츠 대회 중 하나인 배틀그라운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너무 길어질 수 있으니 간단한 개념 정리식으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스포츠 대회를 진행하게 된다면 일반적으로 여러분들이 아는 배틀그라운드 룰과는 다르게

대회용 룰(?) e스포츠 모드가 있습니다.

 

처음 대회를 진행하시거나 안 해본 분들이 이런 걸 알기엔 너무 세부항목들도 많고 그래서

간단하게 개념에 대해서만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본 내용에 앞서 배틀그라운드 대회는 100명까지 참가가 가능하나 원활한 게임 진행을 

위해 64명(16팀)으로 진행을 합니다.

 

초창기의 배틀그라운드 대회는 100명을 꽉 채운(25팀)이었으나 서버 안정화 과 밀집 등 등의 

이유로 렉이 엄청났었지요...

 

 

초창기 대회 중 하나인 스플릿대회 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많이 고쳐지고 안정화되어 쾌적합니다만 기본적으로는 일반적인 공식 대회와 같이

64명이 제일 무난하겠죠??

 

본론으로 넘어가 이제 대회를 운영하는 입장에선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 하기에 인원수를 늘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해설분들과 옵서버 분들이 세세하게 잡아주지 못한다는 단점들이 있겠지요...

 

그럼 이제 실제 생성법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우선 가장 쉬운 방법은 이스포츠 모드 생성 시 글로벌 규칙으로 설정하면 모든 설정들이 끝나 있습니다.

실제 대회 룰을 그대로 본떠 온 것이기에 기타 설정 필요 없이 사용하시기에 가장 편하죠.

 

생성 방법은 우선 메인화면에서 상단에 위치한 사용자 지정 매치를 선택 후 

화면이 그림과 같이 바뀐다면 좌 하단의 생성을 눌러줍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벌써 반 이상을 하신 겁니다 후후

그럼 이제 밑의 그림과 같이 나오실 텐데 여러분은 일반 모드를 이스포츠 모드로 변경해 주시고 

2020 글로벌 규칙 세팅을 하시면 세세한 룰은 자동으로 잡혀있으니 신경 쓰시지 않아도 됩니다!!

 

룰 세팅을 몰라 끙끙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그다음 세션 이름을 입력하세요 쪽에 ( 방 제목 ) ex 지식나무 배틀그라운드 대회.. 

와 같이 해주시고 자물쇠 버튼을 누르시고 방 비밀번호를 설정해 주시면! 설정 끝입니다!

 

참 쉽죠??

 

 

이제 날씨도 좋아지고 e스포츠 대회들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때..

언젠가 대회를 운영하시고 직접 이런 부분을 검색하시면서 힘들게 하지 않으시고 쉽게 하시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합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