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모두들 추석 연휴 잘 지내고 푹 쉬셨나요??

추석에 다들 푹 쉬신 만큼 다시 열심히 힘내시고 슬슬 가을이 찾아오는 시기라

일교차가 심하던데 모두들 감기 조심하세요!!

 

그럼 오늘 포스팅할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면

오늘은 OBS 프로그램 사용 중 화면 색감이나 혹은 명암 등 이런 얘기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OBS 프로그램은 중계 프로그램 겸 녹화도 가능하기에 사람들에게 보이는 색감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어 내 옷을 빨간 옷을 입었지만 실제 카메라에선 조명 주변 환경에 따라 주황색처럼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고자 오늘은 OBS에서 색상 보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OBS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주도록 합니다.

 

OBS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시면 미리 사용하시던 분들께선 아마 소스와 장면 목록 둘 다 따로 존재하겠지요??

 

그렇지 않은 분들이 있더라도 소스에서 우클릭 - 디스플레이 or 비디오 캡처 장치를 통해 띄우고자 하는 화면을 나타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들이 실제 녹화나 방송에서 사용되는 화면이라고 한다면 분명 파워포인트의 맨 위의 창은 빨간색이어야 하는데 

짙은 빨간색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보정을 통해 빨간색으로 보이게 할 수 있지만 방법을 모르시면 어쩔 수 없지... 하는 마음으로 

넘어가는 분들도 있을 수 있기에 이렇게 간단하지만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하는 방법을 한 가지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하단에 위치한 소스 목록에서 직접 삽입하신 소스(화면이 보이는 소스) 

예를 들어 비디오 캡처 장치 혹은 디스플레이 캡처라고 쓰인 소스를 우클릭해주도록 합니다.

 

그럼 보시는 것과 같이 메뉴가 나타나는데 저희는 아래에서 두 번째 위치한 '필터'라는 메뉴를 클릭해주도록 합니다.

 

 

이후 필터에 대한 메뉴가 나타나면 왼쪽의 검은색 빈 공간에서 다시 한번 우클릭을 해주시면

필터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저희는 여기서 실제 송출되는 화면의 색에 대한 변경을 할 거니 색상 보정 메뉴를 추가해주도록 합니다.

 

성공적으로 따라오고 계신다면 위와 같은 메뉴가 나타나야 합니다.

 

현재 보이고 있는 화면은 실제 여러분들이 보이는 화면으로 아래의 감마, 대비, 명암 등 

보이는 색에 대한 값을 변경하면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위와 같이 극단적으로 보여드리기 위해 값들을 임의적으로 변경한 상태입니다.

어떤가요 정말 손쉽죠??

 

그러니 여러분들께서도 이러한 화면에 대해 색이 마음에 들지 않으신다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명암은 여러분들이 흔히 아시는 밝음과 어두움을 의미하고

채도는 색의 선명한 정도를 뜻합니다.

 

감마는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신호의 밝기(Gray Level)와 화면상에 나타나는

영상의 휘도 간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수치인데요.

감마값에 따라 같은 화면이라도 표현되는 밝기 톤의 차이가 느껴집니다.

감마값이 1인 경우는 입력과 출력의 밝기가 같지만, 1보다 크면 중·저 계조 영역에서

화면이 좀 더 어둡게 표현이 되고, 반대로 1보다 작으면 밝게 표현이 됩니다.

 

라고 설명이 나와있지만... 어려우니 ( 밝게 표현 < 1 < 어둡게 표현 )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여러분들이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한 번씩 값들을 건드려보면서 어떤 화면이 제일 좋은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도와주실 분이 있다면 같이 색을 비교하면서 보아도 괜찮겠지요??

 

오늘은 이렇게 OBS 프로그램에서 색상 보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들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지만 한분이라도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은 정보 공유에 대한 포스팅이 아니라 강의를 했던 내용에 대해 올려볼까 합니다.

코로나 19 사태로 많은 교육기관이나 공공기관 등 다양하게 업무들이 온라인으로 많이 전환된 지금 

강의도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추세입니다.

이번 기간에는 한국지역정보 개발원에서 주관한 전국 각지의 기관들에서 희망하시는 분들만 모셔서 

진행한 편집 프로그램인 라이트웍스(Lightworks) 프로그램 사용에 대해 온라인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강의는 Zoo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많은 준비를 해주셔서 편하게 강의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료 편집 프로그램인 라이트웍스를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한 내용은 컷 편집, 분할 편집, 효과 넣기 등

어도비 프리미어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위주로 하여 실제 편집 업무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기능들을

주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유튜브에 대한 내용도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시고 온라인임에도 불구하고 채팅창이 활활 불타올라 궁금증을 풀어드리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고 했었죠.

 

강의를 진행하는 데 있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합니다!

 

 

강의주제 : 영상편집을 활용한 업무 홍보 (LightWorks)
강의장소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강의장_온라인 실시간(줌 zoom 기반)@전자회관

강의 주관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강의일시 : 2020-08-26 ~ 28 ,  09:00 ~ 17:00 
강  사  명 : 유성민 강사 

 

위의 사진들은 실제 강의 중 찍은 사진으로 Zoom 프로그램 캡처 화면은 강의를 참여하시는 분들의 개인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모자이크 처리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주제 : 실시간 온라인 강의2020 예술매개자 성장지원사업 직무기초교육 - 실무활용능력 

강의과목 : 한글2020,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PPT, 포토샵, 기획서 작성방법, 비즈니스 매너, SNS마케팅

강의장소 : 지식나무 스튜디오

온라인플랫폼 : 네이버 Band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소개드렸던 지식나무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강의에 대해서 기록을 올려볼까 합니다.

우선 강의는 예술쪽으로 취업을 진행하는 준비생분들이 실무적으로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어려움을 가질 수 있는

문서 작성, 보고서, 기획서, 비즈니스 매너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예술쪽뿐만이 아닌 일반적으로 많은 사회초년생분들

역시도 어려워하는 주제들로 강의를 해보았습니다.

 

강의 날짜는 비록 오래되었지만 이제서야 올리는 점은 죄송합니다...ㅠ

간단히 강의들의 주제를 설명하자면

한글, 워드를 통해 보고서 작성법과 지원서 만드는 법

파워포인트를 기본으로 하는 기획서와 포트폴리오 작성을 목표로 포토샵 핵심 기능

생각정리를 통한 기획서 작성 방법과 나만의 기획서를 만드는 법

엑셀의 핵심이자 가장 주요한 데이터의 속성 구분 및 입력 방법부터, 실무문서 작성,

많은 오류의 원인이 되는 사용자지정표시형식, 그리고 데이터 관리의 중심인 정렬과 필터, VLOOKUP 함수

등 등 다양한 주제를 총 5일의 기간동안 같이 온라인 강의를 통해 진행했습니다.

 

아래의 사진들으 실제 강의 중인 모습과 준비 중일 때 촬영한 사진으로 강의에 방해되지 않도록 조용히 찍었답니다.

또한 배경은 전부 크로마키 합성을 통해 강의 중에 때문에 집중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고품질 무선마이크와

룩스패드 조명을 통해 강의를 보다 깨끗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한글과 워드를 강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입니다.,
강의 시작 전 카메라 체크 하는 모습을 찍은 모습입니다.
실제 강의 중 수강생분들의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채팅창을 보고 답변드리는 모습입니다.

 

이 외에도 실제 방송화면과 방송 통제 화면을 동시에 캡처한 모습입니다.

해당 채팅창은 수강생분들의 이름이 나와 모자이크 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많은 강사님들이 저희 스튜디오를 방문해주셔서 퀄리티 높은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래간만에 인사를 드립니다...

OBS 1탄만 올려두고 2탄을 올려야지 하고 포스팅 소스들을 모아 두고 있었는데

많은 일들이 있어 이제서야 올려드립니다 ㅠㅠ

 

많은 분들이 1탄도 보시고 2탄에 대한 것을 보고 얼른 해결하고 싶어 하시는데

이제야 올려드려 정말 죄송합니다..

(꾸벅)

 

우선 기다리셨을 분들을 위해 빠르게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1탄에선 OBS와 ZOOM 프로그램을 연결해주기 위한 프로그램 2가지를 다운로드하였고

또한 그 프로그램들을 알맞은 위치에 이동하는 것까지 해보았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Virtual Input이라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면 OBS 프로그램은 방송을 중계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지

카메라는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Zoom 프로그램에서는 OBS를 인식하지 못하고 카메라만 인식해 비추는데

그렇다면 이 OBS 프로그램을 카메라처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걸 위한 프로그램이 바로 Virtual Input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행시키기 전 OBS에서 도구 모음에 들어가 보도록 합시다.

그럼 원래는 아래 그림과 같이 도구 모음이 있었다면 이제는 그림과 같이 NDI Output에 대한

메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된 메뉴를 클릭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럼 이제 NDI의 메인 Output을 OBS로 잡아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OBS에서의 세팅은 끝이 난 겁니다.

 

 

그럼 이제 저희가 아까 말씀드렸던 Virtual Input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도록 합시다.

실행을 시켜주신 후 작업 표시줄 우측 하단에 Virtual Input이 실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우클릭해주신다면 메뉴들이 열리게 됩니다.

메뉴들이 열리면 최상단에 지금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대한 이름이 나타나며 메뉴를 보시면

OB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체크가 되어있지 않다면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셨다면 이제 기본적인 세팅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된 상태입니다.

 

OBS를 Virtual Input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의 카메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 상태죠..

 

그렇다면 이제 Zoom으로 이동해보도록 합시다.

 

줌에서 딱히 무언가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Zoom의 회의방을 열어둔 상태로 이제 여러분들이 좌측 하단의 비디오에 대한 메뉴를 열어보시면 그림과 같이

NDI VIdeo가 새로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DI Video가 현재 Virtual Input을 통해 잡아준 OBS 프로그램이고 비디오를 저렇게 체크해주시면

저희가 긴 여정을 달려왔던 OBS와 Zoom 연동이 끝이 납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과정들이지만 알지 못해서 하는 방법인 것이죠

 

이렇게 저희가 오늘은 OBS와 Zoom을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더 2탄을 빨리 올렸어야 했는데 요새 온라인 강의를 진행 및 준비를 하느라 시간을 내서 포스팅하지 못했습니다.

앞으로 시간을 내서 포스팅하도록 하고 다음 내용은 저희 온라인 강의에 대해 내용을 올려볼까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꼭 이 내용을 통해 많은 분들이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모두들 장마가 지나치고 선선한 여름날을 잘 보내고 계신가요??

항상 건강하시고 여러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찾아오는 포스팅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해볼 내용은 현재 저희 지식나무에서는 온라인 강의를 진행 중에 있는데

저번에 포스팅한 내용 중 하나인 OBS를 사용해 방송 설정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심화 버전 중 하나인 화상대화 프로그램인 Zoom을 OBS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Zoom 이란 프로그램은 코로나 때문에 자택 근무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집에서 화상회의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추후 Zoom은 다시 제대로 포스팅 내용으로 정리해서 찾아오도록 하며 오늘은 다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Zoom과 OBS는 일반적인 연결 방법인 스트림 키를 이용해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스트림 키란 OBS 프로그램과 유튜브,트위치와 같은 플랫폼을 연동해주는 하나의 연결고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Zoom과 OBS는 일반적인 스트림키 연동 방식으로는 서로 연동이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Zoom은 카메라를 인식하여 비추어주는 화상회의가 목적이며 OBS는 스트리밍 - 녹화 방송 프로그램이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이 OBS 프로그램은 하나의 카메라로써 인식시켜주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흔히 프로그램을 하나의 가상 카메라로 만드는 Virtual Camera 방법이 있으며 추가로 제가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NDI라는 플러그인을 통해 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https://github.com/Palakis/obs-ndi/releases/tag/4.7.1

 

Release obs-ndi 4.7.1 · Palakis/obs-ndi

Only use this release with OBS 24 or above! Changes since 4.7.0 Windows installer: the NDI runtime installation is now a separate component that can be disabled if you don't want the runtime autom...

github.com

https://ndi.tv/tools/

 

NDI Tools | NDI.tv

NDI® Tools More Devices. More Content. More Possibilities. NDI® Tools is a free suite of applications designed to introduce you to the world of IP—and take your productions and workflow to places you may have never thought possible. With a single downl

ndi.tv

우선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선 OBS와 zoom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플러그인과 툴 하나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홈페이지로 가셔서 Windows 이름이 붙은 파일은 다운로드합니다.

 

인스톨러는 설치해주시고 Zip 파일의 경우 다운로드한 후 알집을 풀어준 후 파일들을

OBS의 해당 폴더 안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알집을 풀어주시면 data, obs-plugins라는 두 가지가 나오는데 data의 경우 obs-studio의 똑같은 파일명을 가진 폴더 안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때 옮기실 때에는 전체가 아닌 안에 있는 obs-ndi 폴더만 옮겨주시면 됩니다.

 

 

 

플러그인 파일은 윈도우 비트 체제에 맞는 폴더에 들어가 안에 위치한 obs-ndi.dll 파일을 OBS가

설치된 곳의 플러그인 폴더에 옮겨주시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알집에 있는 파일들을 옮겨주시면 하나는 끝이 납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ndi파일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다운 방법은 위의 두번째 링크로 접속하여 아래 하단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때 다운로드를 누르시면 정보 입력 칸이 나오는데 간단하게 이름 정도와 사용목적을 묻는 것이니

작성해 주시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Virtual Input이라는 앱이 설치됩니다.

 

위와 같은 NDI 그림이 그려진 파일들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고 또한 플러그인을 파일을 OBS가 설치된 

폴더에 정확히 옮겨주셨는지 확인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내용이 길어 연결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설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내일은 이 프로그램들 이용하여 Zoom과 OBS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1.02.17 추가 수정입니다.

현재 OBS 업데이트를 통해 가상카메라를 손쉽게 연결하는 방법이 생겼습니다.

 

zisiknamu.tistory.com/114

 

[Zoom, OBS] Zoom 프로그램을 OBS 연결해서 사용하기 (OBS 가상카메라)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정말 오래간만에 찾아뵙는데요. 설 명절 따뜻하게 잘들 보내시고 마지막 겨울이 다시 찾아오는 오늘 하루를 잘 보내고 계셔서 이 글을 읽고 있으시다고 생각합니

zisiknamu.tistory.com

위의 글에서 더욱 쉽게 OBS와 Zoom을 연동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