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어느 센가 일주일의 마지막인 금요일이 되었습니다.

모두들 일주일 마무리 잘하시고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태 진행한 내용으로 OBS의 간단한 설명과 다운로드 그리고 OBS 화면 설정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제 OBS와 방송 플랫폼과의 연결 방법에 대해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플랫폼들에는 아프리카 TV, 트위치, 카카오TV, 유튜브 등 많은 곳들이 있습니다.

제가 지금부터 진행하는 내용은 유튜브 내용이며 다른 플랫폼도 같은 내용에 해당하는 것들이

위치만 다를 뿐 연결하는 데에 큰 무리는 없습니다.

 

우선 유튜브 홈페이지로 접속하여 본인의 아이디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그 후 우측 상단의 캠코더 버튼을 클릭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시작을 누릅니다.

 

 

그럼 유튜브 방송을 진행하기 위한 설정들이 나타나게 되며 이것을 유튜브 스튜디오라고 칭합니다.

 

방송 제목 : 사용하고 싶은 방송 제목을 입력

공개 : 방송의 여부를 공개, 비공개, 일부 공개로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공개 방송 진행

설명 추가 : 방송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줍니다.

교육 : 방송의 카테고리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당 방송에 맞게 변경해주도록 합니다.

맞춤 미리 보기 이미지 업로드 : 방송 썸네일(검색 시 보이는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시청자 층은 방송 연령대에 맞게 아동용 혹은 아동용이 아니라고 체크 해준 후 스트림 만들기 진행합니다.

 

 

스트림 만들기가 완료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화면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노란색 형광펜이 칠해진 스트림 키입니다.

스트림 키란 OBS와 방송 플랫폼 간 연결해주는 키라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추가 설정은 여러분들의 방송 세팅에 맞게 설정해주도록 하며 편하게 기본 설정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연시간은 실제 여러분들의 방송과 내가 진행하는 것이 얼마 나의 지연시간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선 이 그림에선 제일 중요한 것을 스트림 키이며 스트림 키를 복사해주도록 합니다.

복사가 완료되면 이번엔 OBS로 넘어갑니다.

 

OBS의 화면에서 좌측 상단의 파일 - 설정을 클릭해 줍니다.

 

설정에서 좌측의 방송이라는 메뉴를 선택하시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타내며 스트림 키를 입력해주는 곳이 나타납니다.

스트림 키를 입력할 때 주의할 점은 플랫폼에 맞게 서비스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플랫폼들이 나타나게 되며 찾으시고자 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없다면 모두 보기를 클릭하시게 되면

다른 플랫폼들도 나타나게 되니 이 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우선 저희는 여기서 YouTube / YouTube Gaming 서비스를 클릭하여 눌러줍니다.

이후 아까 유튜브 홈페이지에서 복사한 스트림 키를 스트림 키 칸에 붙여 넣기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후 다시 OBS로 넘어와 방송 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측아래의 REC, Live 타임을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OBS와 연결이 되었다면 그림과 같이 유튜브 스튜디오에 *연결상태 우수함 이라는 글이 나타나게 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진행하였다면 이제 OBS와 유튜브 방송 플랫폼과의 연동이 끝난 상태입니다.

여기서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이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우측 상단에 위치한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실시간 스트리밍이 진행되게 되며 검색창에도 나타나게 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OBS와 유튜브 방송 플랫폼 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복잡하다고 느끼실 수도 있지만 차근차근 진행하시다 보면 여러분들도 어느새 1인 크리에이터!!!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 방법은 방송 플랫폼 간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스트림 키에 대한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기에

큰 차이는 없을 것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은 어제와 다르게 잠시 화창했다가 조금 어두운 날씨이네요.

습도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모두들 조심하세요!!

 

어제는 1인 방송을 준비하기 위한 OBS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OBS 사용법과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앞으로 방송이나 영상 업로드 등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보고 따라하실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설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OBS를 키시면 기본 화면이 그림과 같이 나타납니다.

화면 중간의 검은 화면은 현재 여러분들이 송출할 화면을 나타냅니다.

 

검은 화면인 이유는 아직 어떤 화면을 송출할 것인지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아래에서 + 버튼을 눌러주면 여러분들이 송출할 소스를 고르실 수 있습니다.

 

목록은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게임 캡쳐, 디스플레이 캡처, 비디오 캡처 장치, 이미지들이 있습니다.

 

게임 캡쳐 : 현재 실행 중인 게임의 화면을 송출합니다.

디스플레이 캡처 : 현재 모니터의 화면을 송출합니다.

비디오 캡처 장치 : 캡처보드를 사용 시 사용하는 소스로 2개의 컴퓨터로 사용할 때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미지 : 이미지를 띄워 화면에 송출합니다. (크로마키를 합성한 배경에 주로 사용)

 

많은 소스들이 있지만 오늘은 1개의 컴퓨터를 주제로 한 내용을 다루어 볼 것이라 사용하기 쉬운 디스플레이 캡쳐를

통해 진행해보겠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소스 목록에서 디스플레이 캡처를 눌러주시면

 

소스를 만들지에 대한 것을 묻습니다. 확인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확인을 누르셨다면 위의 그림과 같이 속성에 대해 지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는 여러분들의 모니터를 의미하며 이때 1개의 컴퓨터에 1개의 모니터만 연결 되었다면 디스플레이 1만

나타나며 1개의 컴퓨터에 2개의 모니터를 연결해주셨다면 그림과 같이 디스플레이 1,2가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들이 나타내주고 싶은 화면을 설정해 주시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럼 다시 처음의 화면으로 돌아오게 되며 아까와는 다르게 소스목록에 디스플레이 캡처가 나타나며 검은화면이 저의 

모니터 화면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빨간 테두리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선입니다.

 

응용으로 크기를 작게 조절하고 소스에 디스플레이 캡처를 하나 더 추가하면 이런식의 응용도 가능합니다.

참 쉽죠??

 

오늘은 이렇게 디스플레이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여러분들이 방송하고자 하는 플랫폼과 OBS를 연결하여 방송을 진행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 날씨가 매우 좋은데 다들 점심시간이나 이럴 때 안에서 쉬는 것도 좋지만 광합성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느낄 수 있는 날씨입니다.

그래서 저는 나가서 30분 동안 멍 때리고 있었죠...

 

본론으로 돌아와 오늘 이야기해 볼 내용은 OBS란 프로그램입니다.

우선 OBS에 설명하기 앞서 지식나무에서 이제 코로나를 대비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온라인 강의나 유튜브 등 콘텐츠를 위해 여러 장비들을 구입했습니다.

(추후 하나하나 소개해보도록 하지요...)

 

그래서 저희가 이제 장비들을 구입하고 온라인 강의를 하기 위해 방송 프로그램을 알아보는 중

OBS가 가장 좋다고 주변에서 추천을 해주더군요.

 

OBS(오픈 브로드캐스터 소프트웨어)는 OBS 프로젝트가 관할하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스트리밍·녹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윈도 7 이상, MacOS 10.8 이상, 리눅스 우분투 14.04 이상을 지원한다.

라고 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료이면서 동시에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로서도 사용되며 편리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입니다.

OBS는 개인 방송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불편성을 개선해주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즉, 방송을 하기 위해 가장 좋은 프로그램이란 거죠 물론 이외에도 다른 프로그램들이 있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오늘은 저희가 쓰는 OBS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은 OBS에 대한 설명과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에 간단한 설정법과 인터페이스 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OBS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obsproject.com/ko/welcome

 

Welcome | OBS

Thank you for downloading OBS Studio! 죄송합니다. 현재 이 페이지는 영문으로만 제공됩니다 Getting Started If you are brand new to using OBS please check out the OBS Studio Quickstart Guide. It can get you up and running in 4 easy steps

obsproject.com

아래 링크를 클릭하신 후 접속 후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운영체제를 누르시면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정말 쉽죠??

 

오늘은 이렇게 OBS 프로그램에 장점과 다운로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인터페이스나 사용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가 내리는 날인데 다들 우산들은 잘 챙기셨나요??

코로나가 잠잠해지나 싶더니 다시금 기승을 부리는 이 시기에 여러분들은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 이야기해 볼 내용은 사실 조금 지났지만 저번에 진행했었던 온라인 강의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우선 금천구청에서 지식나무와 구민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코로나로 의해 교육장 강의를 못함에 따라

시범적인 온라인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리하여 저희는 아프리카tv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중간중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문의사항과 많은 질문들을 해주셨고 최대한 많은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려 했으며 모든분들에게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교육은 생각보다 깨끗하게 진행이 되었으며 강의 후 교육을 받으신 분들께서도 문자로 저희에게 후기나 작품을 통해

교육 내용이 좋았다며 다음 강의 내용에 대해 일정을 묻기도 해 주셨습니다.

 

온라인 강의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이렇게 교육받은 분들에게 후기를 받게 되니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느끼게 됩니다.

 

앞으로도 온라인 강의는 진행을 할 예정이며 추후 유튜브로도 온라인 강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교육을 들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더 멋진 강의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 입니다.

 

잠잠해지던 코로나가 다시한번 하나 둘씩 나타나면서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진행중이던 많은 교육들이 중단되며 멈추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진행을 미룰 수는 없던 금천구청과 많은 이야기를 나눈 끝에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온라인 강의의 장점은 신청을 통한 제한된 인원의 수강생이 아닌 더욱 많은 분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실시간 소통으로 인해 궁금증을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단점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만큼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이 없고 어르신분들이 기계 사용에 어려움을 느껴 온라인 강의 접속이 힘들다는 점이 있지요.

 

이를 위해 저희는 금천구청 온라인 강의 가이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log.naver.com/geumcheon1/221968270219

 

구민정보화교육 온라인 실시간 특강 개설 안내

구민정보화교육 온라인 실시간 특강 개설 안내□ 수강생 모집 ○ 기 간: 2020. 5. 18.(월) 10:00 ~ 5. 22.(...

blog.naver.com

 

www.geumcheon.go.kr/reserve/edcLctreView.do?key=112&searchLctreKey=150867

 

교육/강좌 - 통합예약

강의소개 구민 정보화 교육 중단이 장기화 됨에 따라 온라인 실시간 특강을 개설합니다. 비대면 교육이지만 채팅 기능을 활용하여 강좌 중 질의응답도 가능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

www.geumcheon.go.kr

위의 내용들은 금천구청에서 게시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