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나무 입니다.

 

모두들 설 연휴 잘 보내셨나요?

오늘도 이렇게 찾아와주셔서 감사하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해 모두들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를 통해 미리미리 예방 하시길 바랍니다! 건강은 소중하니깐요!

 

오늘 알아볼 내용은 흔히 사용하는 Print Screen 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그림 복사를 위해 캡처 도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Print Screen키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때 Print Screen키는 모니터에 띄워진 모든화면을 복사합니다.

 

하지만 복사하고 싶은 화면은 조그만 창 화면인데 쓸대없이 모니터 전체가 복사되니

다시 그림을 편집하는 두번일하는 번거러운 과정이 되는것이죠

 

이때 지금부터 알려드릴 Alt+Print Screen 키는 지정된 창만 복사가 되는 

꿀 기능 중 하나이니 알아두시면 많이 사용할 것이라 생각되 이렇게 오늘의 주제로 선정합니다!

 

우선 일반적인 Print Screen 의 경우 예를들어 네이버 뉴스창을 복사하고 싶은데 

저렇게 뒤의 화면까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Alt + Print Screen 키를 이용해서 똑같은 화면에서 뉴스창만 한번 클릭해 활성화를 시켜주시고

붙여넣기를 해주시면

 

붙여넣는 창에 알맞게 활성화 된 창만 복사를 하게 됩니다.

 

이것을 통해 앞으로 사진을 자르고 편집하는 두번 일하는 없으시길 바라면서 오늘도 꿀팁을

전해드린 지식나무였습니다!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조심하시고 건강하게 다음 포스팅 때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 입니다.

 

정말 간만에 찾아뵙네요 ....ㅠㅠ

꾸준한 포스팅을 약속드렸지만 지키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ㅠ

앞으로 꾸준히 하도록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간만에 진행할 포스팅 내용은 여러분들이 흔히 서류작업 시 한글을

사용하실거라 생각하는데요.

이때 쏠쏠하게 쓰이는 색깔을 알아서 찾아바꾸는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본문의 내용에서 빨간색의 부연설명이 있는데 이 부분의 색깔을 바꾸고 싶습니다.

보통 하나하나 찾아서 색깔을 바꾸시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에 처리하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이 빨간색의 색깔을 문서 전부를 한번에 찾아 하나하나 바꾸는 건 너무나 비효율적이겠지요?

 

우선 이 빨간색의 부연설명을 전부 그림과 같이 보라색으로 바꾼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렇다면 이제 이 한번에 바꾸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기능의 단축키는 Ctrl + H 입니다.

찾아바꾸기라는 기능이지요.

 

 

단축키를 누르면 그림과 같이 화면이 뜨는데 우선 찾을내용에서 우측에 보이는

망원경 그림을 클릭 후 찾을 글자 모양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그 후 글자모양 창에서 글자 색을 빨강색으로 지정해 주시면 저희가

변경해주어야 할 빨간색의 글자들이 전원 선택이 되는 것이죠.

 

 

 

그 다음 이번엔 같은 방법으로 바꿀내용에서 바꿀 글자모양을 선택해 줍니다!!

 

 여러가지의 색상표가 있고 다양하게 지정해 줄 수 있지만 우선 저희는 보라색으로 하기로 했으니

보라색을 지정해 줍니다!

 

모든 설정 후에도 이렇게 아무 창이 보이지 않는다고 잘못된 것이 아니니 걱정하지 마세요!

설정은 전부 되어있습니다!

 

 이 후 모두 바꾸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문서에 포함된 빨간색의 글씨를 찾아서

바꾸어 준 후 변경 건 수에 따라 알림이 뜹니다. 

이렇게 진행하시면 빨간색의 글씨가 전부 보라색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래간만에 뵙는군요!

사실 1일 1회 포스팅을 목표로 했지만

회사가 여러 일정으로 바쁜 관계로 제가 포스팅을 못했습니다 ㅠㅠ

사실 지금도 겨우 생긴 여유 시간으로 하는 포스팅이지만 앞으로도 열심히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저번에 구글 캘린더 공유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캘린더의 반복되는 일정을 복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1주일에 한 번씩 반복되는 일정이 하나씩은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엔 주 1회 병원 혹은 PT헬스 이런 식이 반복 일정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하나하나 작성하기 힘드니 그걸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지금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반복되는 일정을 클릭하도록 합니다.

 

 

 

 

클릭 후 일정 수정을 할 수 있는 연필 표시가 된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후 편집창에 들어가시면 그림의 손가락 표시가 된 창이 보이실 건데요.

 

이 창을 클릭하시면 메뉴들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

 

 

간단한 반복 일정이라면 포스팅을 하지 않아도 여러분이 쉽게 하실 수 있겠지만

그런 게 아니니 이번 캘린더 복사 법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여러분에게 맞춤으로 일정을 복사하기 위해 맞춤을 클릭해 줍시다!

 

 

 

 

 

보시면 여러 표시들이 있는데요. 우선 여러분이 주, 월, 년 반복을 체크해 주시고 요일을 지정해 줍니다.

 

그렇게 한 후 아이콘이 표시된 몇 회 반복

(예를 들어 나는 3주 동안 이 일정을 반복한다.라고 하시면 3회 써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해 주시고 저장을 눌러주신다면!!

 

 

 

 

짜잔~ 쉽고 편하게 일정 복사가 됐습니다.

 

여러분들도 반복되는 일정이 생기신다면 이 기능을 활용해서 편한 일정 관리에 더욱 힘쓰시길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오늘은 일할 시 서로의 일정을 조율하기 위해 구글 캘린더를 사용할 때가 있는데

본인만 사용하는 캘린더를 공유하여 일정을 조율하기 위해 공유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

오늘은 그 필요한 일정들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업무 일정은 비공개라... 가린 점 죄송합니다

우선 보시면 초록색일정의 경우 제 시간이고 갈색 네모칸의 경우 제가 공유받고 싶은 타인의 일정이라고 

한다면 현재 저 일정은 제가 입력한 것이 아닌 타인의 일정을 받아와 제 캘린더에 보이도록 공유를 한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면 서로 일정을 조율하며 만나기도 쉽고 좋겠죠???

 

 

 

 

 

 

자 그렇다면 이제 이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우선 첫 번째로 캘린더 좌측 하단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일정에 대해서 우측에 세로로 ... 표시된 곳을 누른 후 설정 및 공유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 나타난 창에서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신다면...

 

특정 사용자와 공유라고 하는 제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자 추가를 클릭해 준 후 우측에 보이는 빨간 박스 안에

추가하고자 하는 인원의 이메일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물론 이메일 작성 밑에서 권한의 경우 4가지가 있는데 모든 일정 세부 보기로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일정 수정 허용을 해주신다면 타인이 제 일정을 건드려 자칫하면 캘린더가 꼬일 수도 있으니깐요!

 

그렇다면 이제 보낸 사람에게서 액세스를 요청하는 메일이 와 있을 겁니다.

(사전에 미리 메일 확인해달라고 요청하는 게 좋겠지요?)

 

 

 

 

이렇게 메일이 와 있는 걸 확인하셨다면 파란 글씨에서 캘린더를 추가합니다 버튼을 누르신다면! 끝!!!

편하게 볼 수 있도록 색깔도 헷갈리지 않게 미리 해두는 게 좋겠지요?

 

자 이렇게 오늘은 타인과 구글 캘린더 일정을 공유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일하는 특성상 서로와 일정을 맞추기 위해 서로의 일정을 공유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때 구글 캘린더 공유를 통해 서로 비는 시간이나 날을 캘린더 공유를 통해 한다면 편하겠죠?

 

여러분 시간은 1분 1초라도 아까우니깐요!!

 

오늘은 이것으로 마치고 다음엔 또 다른 꿀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글이 조금 못나 보일지라도 이쁘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나무입니다.

요전번에 나라장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그중 입찰을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 중 하나인

지방세 완납 증명서 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증명서는 이제 여러분들이 공고를 확인해 상대처에서 원하는 서류를 준비하실 때 거의 필수적인 서류 중 

하나인데요. 그렇기에 미리미리 준비해놓고 대비하면 좋으실거라 생각합니다!!

 

 01 우선 첫 번째로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을 합니다.

 

 

하지만 인증서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저런 오류가 뜹니다. 그래서 우선 아이디를 회원가입을 통해 만드신 후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공인인증서를 등록하시고 인증서를 통한 로그인까지 완료되셨다면 보이는 사진에 중앙에

지방세 납세증명이라고 있는데요. 이쪽을 클릭하신다면 후

 

 

신청하기 클릭!!!

 

 

* 별표가 표시된 필수 사항들을 입력해 주시고 '개인사업자라면 개인으로 변경!',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변경 및 설정

 후 맨 좌측 아래에 위치한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해주시면!! 

 

 

 

 정상적으로 처리가 됬다면 이렇게 표시가 됩니다. 그리고 이 문서를 출력해 주신다면 끝!!!!

어때요 참 쉽죠!!

이렇게 오늘은 나라장터 이용 시 주로 쓰이는 서류 중 하나인 지방세 납입 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입찰을 확인 후 들어가실때 많이 필요하니 알아두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여러분 모두 부자되시길 바라며 이만 퇴장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